'술이부작(述而不作)'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오동통통너구리

·

2023. 6. 27. 13:01

반응형
728x170

'술이부작(述而不作)'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들어가기 전에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함께 알아볼 고사성어는 '술이부작(述而不作)'입니다. 성어에 대해 깊게 공부하면 그것이 우리 일상 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술이부작'은 이런 면에서 특히 중요한 성어로, 성인의 말을 전하되, 자신의 설을 지어내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고대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 공자의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새로운 것을 창조하지 않았다고 자주 말했습니다. 그는 단지 옛 것을 믿고 사랑하며, 그것을 전하는 일에 충실했을 뿐입니다. '술이부작'은 그런 그의 겸손한 태도를 잘 보여주는 말입니다. 

이런 성어를 알아가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가치와 교훈을 발견할 수 있는지 놀라울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고대의 지혜를 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혜를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의 과정입니다. 이제 우리는 '술이부작'이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행동과 태도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려고 합니다. 또한 이 성어가 어떻게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한 몇 가지 흥미로운 예를 소개하겠습니다. 이 성어의 깊은 의미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하는 것이 얼마나 풍부한 통찰력을 가져다주는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부터 함께 '술이부작'의 세계로 떠나보시죠. 이 글이 여러분에게 새로운 시각과 이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다음 내용을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술이부작(述而不作) 이란?

'술이부작(述而不作)'이라는 고사성어는 말 그대로 성인(聖人)의 말을 전하고(述) 자신(自己)의 설(說)을 지어내지(作)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사실상 자신이 창조자가 아니라 중개자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겸손의 상징이며, 오래된 지혜와 가치를 숙고하고 존중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 성어는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 공자(孔子)의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공자는 "나는 전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것을 기술(述)할 따름이지 새로운 것을 지어내는 것은 아니다. 옛 것을 믿고 좋아하기 때문이다. 마음 깊이 은(殷)의 현인(賢人) 팽(彭)을 본받고자 하는 것이다."라는 말로 이 성어의 근원을 설명했습니다. 이것은 그의 겸손한 태도를 보여주는 명확한 예시이며, 그가 자신의 지위와 통찰력에도 불구하고 항상 옛 지혜를 공경하고, 그것을 이어 받아가려 했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술이부작'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이 우리의 태도와 행동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자신이 가져야 할 겸손한 태도를 인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자풀이

이제 이 성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 述: 펼 술. 펴다, (글을)짓다, 서술하다, 말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而: 말 이을 이, 능히 능. (말 이을 이), 말을 잇다, 같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不: 아닐 부, 아닐 불. (아닐 부), 아니다, 아니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作: 지을 작, 저주 저, 만들 주. (지을 작), 짓다, 만들다, 창작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술이부작'이라는 성어를 이해하는 것은 고대의 지혜를 이해하고, 그것이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 지혜를 이어받고, 자신의 삶에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공자처럼 겸손하고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게 도와줄 것입니다.

실생활 예시

  1. "선생님의 가르침은 술이부작의 철학이 담겨져 있습니다. 학문은 고유의 창조가 아니라, 선진의 지혜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2. "그녀의 예술은 술이부작의 원칙에 따라 가공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합니다."
  3. 드라마 대사에서 "나는 그저 여기에 있을 뿐이야, 술이부작처럼 오랜 세월 동안 전해진 사랑의 메시지를 전하려고."
  4. 영화에서의 대사로 "내 방식은 술이부작, 난 단지 영화의 이야기를 전하는 매개체일 뿐이야."
  5. "가르침을 전하는 선생님은 술이부작의 원칙을 따라, 자신의 의견이 아닌 원작자의 말을 전달합니다."
  6. "사업은 술이부작처럼, 기존의 성공한 전략을 따르고 개선하는 것입니다."
  7. "그의 연설은 술이부작처럼, 과거의 위대한 사상가들의 말을 차용하며 현대적인 통찰을 더해갔습니다."
  8. "우리는 술이부작처럼, 옛날의 지혜를 가져와 현재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9. "학문은 술이부작처럼, 오래된 지식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문제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10. 시에서 "내 마음은 술이부작, 옛사람들의 고요함을 담아, 이세상의 시끄러움을 가라앉히는데."

끝맺음

지금까지 우리는 고사성어 '술이부작(述而不作)'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공자의 사상을 담고 있으며, 원칙적으로 '성인의 말을 전하되, 자신의 설을 지어내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 아닌, 선진의 지혜와 가르침을 전달하고 신뢰하는 것을 중시하는 철학적인 사상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고사성어를 통해 과거의 지혜를 바탕으로 현재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또한, 한자의 본래 뜻을 통해 이 성어의 깊이 있는 의미를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고사성어는 오래된 고전을 통해 우리에게 깊이 있는 의미와 교훈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거의 지혜를 이해하고, 현재의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흥미로운 고사성어를 함께 알아보며, 그 성어가 가진 깊이 있는 의미와 그것이 우리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함께 탐색하려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의 삶에 더 큰 가치와 통찰을 더하며, 우리 스스로를 계속해서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 만나요.

반응형
그리드형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저자에게 암호화폐로 후원하기 💖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갑 주소가자동으로 복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