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교언영색(巧言令色)이란 말은 고대 중국의 지혜와 교훈을 담은 논어(論語)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교언영색의 의미와 뜻을 알아보고, 사용 예시를 비교해보며 이 성어에 대해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언영색은 남의 호감을 얻기 위해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미는 것을 의미하는데, 과연 이런 행동이 긍정적인 것일까요? 아니면 경계해야 할 부분일까요? 함께 살펴보며 공자의 견해와 성어의 실제 적용 예시를 통해 이를 파악해보도록 합시다. 이를 통해 우리 일상에서 교언영색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부터 교언영색의 세계로 함께 떠나보시죠!
교언영색(巧言令色) 이란?
본론으로 들어가서 '교언영색(巧言令色)'에 대한 설명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교언영색은 고대 중국의 명작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성어는 남의 환심(歡心)을 얻기 위해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미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성어의 유래는 논어에서 공자(孔子)가 다음과 같이 말한 것에 기초합니다: 「발라 맞추는 말과 아첨(阿諂)하는 얼굴 빛에는 인(仁)이 적다.」 즉, 말재주가 교묘하고 표정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사람은 거의 없다는 뜻입니다. 공자는 자로(子路) 편에서 강직(剛直) 의연(毅然)하고 질박(質樸ㆍ質朴)한 사람이 오히려 인(仁)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 의지(意志)가 굳고 말수가 적은 사람이 오히려 인(仁)과 덕(德)을 갖춘 자(者)가 많다는 것입니다.
한자풀이
한자풀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巧: 공교할 교 - 솜씨나 꾀 따위가 재치가 있고 교묘한 것을 의미합니다.
- 言: 말씀 언 - 말씀이나 견해, 의견을 나타냅니다.
- 令: 하여금 령(영) - 하여금이나 가령, 이를테면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 色: 빛 색 - 빛, 빛깔, 색채 등을 표현합니다.
이상으로 교언영색의 의미와 한자풀이를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이 성어를 사용하는 예시를 살펴봅시다.
실생활 예시
- 그 정치인은 교언영색으로 선거 운동을 펼치며 유권자들의 호감을 얻었다.
- 드라마에서 악역은 교언영색을 부리며 주인공을 속였다.
- 영화에서 사기꾼은 교언영색으로 피해자들을 속이는 역할을 맡았다.
- 뉴스에서 보도된 바, 그 기업의 대표는 교언영색으로 투자자들을 속여 막대한 자금을 모았다.
- 회사에서 그녀는 교언영색을 사용해 상사들의 호감을 얻으며 빠르게 승진했다.
- 그 학생은 교언영색으로 선생님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학급대표가 되었다.
- 사업을 시작할 때, 그는 교언영색으로 고객들을 끌어들여 급속도로 사업을 확장했다.
- 작가는 소설에서 주인공의 라이벌로 교언영색을 부리는 인물을 등장시켰다.
- 그 신입사원은 교언영색으로 선배들에게 인기를 얻으며 조직 내에서 빠르게 적응했다.
- 그녀는 결혼 생활 동안 남편을 교언영색으로 다루어 가정에서 큰 권력을 행사했다.
끝맺음
이번 글에서는 '교언영색(巧言令色)'이라는 성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단어는 말과 표정을 교묘하게 사용하여 남의 호감을 얻으려는 태도를 의미하며, 논어(論語)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한자 풀이를 살펴보면, 각각의 한자가 공교할 교, 말씀 언, 하여금 령(영), 빛 색을 뜻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언영색'은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남을 속이고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항상 정직하고 성실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기억합시다. 이 글을 통해 '교언영색'이라는 성어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기를 바라며, 우리 일상에서도 진실된 말과 행동으로 더 좋은 관계를 만들어가기를 희망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흥미로운 성어나 표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때 뵙겠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흥차사(咸興差使)'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1) | 2023.04.18 |
---|---|
'기호지세(騎虎之勢)'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0) | 2023.04.18 |
'인의예지(仁義禮智)'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1) | 2023.04.18 |
'도광양회(韜光養晦)'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1) | 2023.04.18 |
'마부작침(磨斧作針)'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1) | 2023.04.18 |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