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종칠금(七縱七擒)'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오동통통너구리

·

2023. 5. 7. 18:30

반응형
728x170

'칠종칠금(七縱七擒)'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들어가기 전에

오늘 소개해드릴 성어는 '칠종칠금(七縱七擒)'입니다. 이 성어는 삼국지의 촉나라의 뛰어난 전략가, 제갈공명(諸葛孔明)의 기발한 전술을 묘사하는 데에서 유래했습니다. 한자로는 七(칠)이 일곱을 뜻하며, 縱(종)은 세로를, 擒(금)은 사로잡을을 의미해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는다는 뜻입니다. 이 글에서는 칠종칠금(七縱七擒)의 뜻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사용 예시를 통해 이 성어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성어는 자유자재로운 전술을 의미하며,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는 상황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칠종칠금(七縱七擒)의 배경은 촉나라의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적의 장수 맹획(孟獲)을 일곱 번 사로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전술을 사용한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제갈공명(諸葛孔明)의 놀라운 지략과 계략을 알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과 함께 칠종칠금(七縱七擒) 성어의 실제 사용 예시를 소개해 드릴 예정이니, 그때까지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성어의 깊은 의미를 더욱 이해하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럼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볼까요?

칠종칠금(七縱七擒) 이란?

'칠종칠금(七縱七擒)'이란 성어는 삼국시대 촉나라의 제갈공명(諸葛孔明)의 전술을 묘사한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전술은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는 방식으로 상대를 완전히 통제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유래에 관한 이야기는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죽은 후,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이때 제갈공명(諸葛亮)은 적진에 유언비어(流言蜚語)를 퍼뜨려 이간책(離間策)을 사용하여 반란군(叛亂軍)을 분열시켰습니다. 반란군끼리 서로 살육을 일삼았고, 마지막 반란군(叛亂軍)이었던 맹획(孟獲)은 제갈공명(諸葛亮)의 계략(計略)에 걸려들었습니다. 이후 일곱 번을 잡았다 놓아주기를 반복하자, 결국 맹획(孟獲)은 제갈공명(諸葛亮)에게 복종하고 부하(部下)가 되기를 자청(自請)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전술을 통해 제갈공명(諸葛亮)은 적을 마음대로 다루어 반란을 진압했습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제갈공명(諸葛亮)의 놀라운 지략과 계략, 그리고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는 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자풀이

이제 각 한자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 七: 일곱 칠 
  • 縱: 세로 종
  • 七: 일곱 칠 
  • 擒: 사로잡을 금 

따라서 '칠종칠금(七縱七擒)'의 한자를 풀이하면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는다'는 뜻이 됩니다. 이 성어는 제갈공명(諸葛孔明)의 놀라운 전술을 통해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는 능력을 나타내며, 이 성어를 통해 현대에도 상대방을 완전히 통제하거나 마음대로 다루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칠종칠금(七縱七擒)'이란 어떤 상황이나 문제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능력을 가리키는 성어로 활용됩니다. 이처럼 칠종칠금(七縱七擒)은 세련된 전략과 통제력을 바탕으로 상대를 마음대로 다루는 능력을 보여주는 성어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성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현대 사회에서도 상대방과의 관계나 문제 해결에 있어 더 나은 전략과 판단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칠종칠금(七縱七擒)'에 대한 설명과 유래, 그리고 한자풀이를 살펴보았습니다. 이 성어는 제갈공명(諸葛孔明)의 전술을 통해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는 능력을 나타내며, 현대에도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이 성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더 나은 전략과 판단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생활 예시

  1. 경영자로서 그는 회사를 이끌어가는 데 있어 칠종칠금의 능력을 발휘했다.
  2. 그녀는 남편의 기분을 칠종칠금으로 다루어 가족의 평화를 유지했다.
  3. 그 팀은 경기 도중 상대방의 전략을 칠종칠금으로 극복하며 승리를 거뒀다.
  4. 영화 속 주인공은 적들 사이에서 칠종칠금의 기술로 위기를 모면했다.
  5. 대학 교수님의 강의는 학생들의 마음을 칠종칠금으로 사로잡았다.
  6. 그 작가는 독자들의 마음을 칠종칠금으로 사로잡는 글쓰기 기술을 소유했다.
  7. 그녀는 어릴 때부터 칠종칠금의 댄스 능력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8. 정치인들은 칠종칠금의 수완으로 지지자들을 이끌어 나아갔다.
  9. 대화 속에서 그는 칠종칠금의 말솜씨로 상대방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10. 작곡가는 칠종칠금의 음악적 감각으로 수많은 명곡을 탄생시켰다.

끝맺음

오늘 이 블로그에서는 칠종칠금(七縱七擒)이라는 고사성어를 알아보았습니다. 칠종칠금은 제갈공명(諸葛孔明)의 전술로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유자재로운 전술, 상대를 마음대로 다루는 능력, 또는 일을 제 마음대로 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자로 된 단어의 의미를 풀어 보았으며, 칠종칠금의 유래와 관련된 매력적인 이야기들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여러 분야에서 칠종칠금을 활용할 수 있는 예시들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칠종칠금(七縱七擒)이라는 고사성어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삶에서 더 풍요로운 경험을 쌓아가시길 바랍니다. 이 글을 통해 칠종칠금(七縱七擒)이라는 고사성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재미있고 유익한 고사성어를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관심과 호응에 감사드리며, 다음 글에서 더 많은 고사성어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지금까지 좋은 시간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저자에게 암호화폐로 후원하기 💖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갑 주소가자동으로 복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