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조사 중 가장 서로 혼동하기 쉬운 것이 바로 '함으로써'와 '함으로서'가 있습니다. '함으로써'와 '함으로서'라는 표현 방식은 일상에서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표현 방식 중 하나인 만큼 제대로 알고 사용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으로써'와 '함으로서' 중에 맞는 표현 방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실제 사용 예시로 제대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으로써? 함으로서?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함으로써"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하므로'는 동사 어간 '하-'에 까닭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므로'가 붙은 말이고 '함으로'는'하다'의 명사형 '함'에조사 '으로(써)'가 붙은 형태입니다.
'하므로'는 '하기 때문에'란 뜻이고 '함으로'는 '하는 것으로(써)'란 뜻입니다. 또한 '하므로'에는 '써'가 결합할 수 없지만 '함으로'에는 '써'가 결합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실제 사용 예시
여기서 중요한 점은 '-함으로써'의 '써'는 생략될 수 있습니다.
- 나는 올해로써 벌써 스무 살이 되었다.
- 나는 이직을 함으로써 스트레스에서 벗어났다.
- 그는 열심히 공부함으로(써)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한다.
- 그는 열심히 일함으로(써) 보람을 느낀다.
결론
이 글을 통해 '함으로써'와 '함으로서'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함으로써'가 올바른 표현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함으로써'는 '하는 것으로써'라는 의미를 가지며, 동사의 명사형 뒤에 붙어 그 행위를 수단이나 방법으로 나타냅니다. 반면, '함으로서'는 문법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이러한 지식은 한국어를 보다 정확하고 풍부하게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제 사용 예시를 통해 '함으로써'의 적절한 활용법을 익히고, 일상 대화나 글쓰기에서 이를 올바르게 사용함으로써 한국어의 정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언어는 소통의 도구이자 문화의 반영이므로, 정확한 언어 사용은 의사소통의 명확성을 높이고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돼 안되의 차이 구별법 그리고 20가지 실생활 예시를 통해 쉽게 구분해보자 (0) | 2024.01.07 |
---|---|
이따가 vs 있다가 차이 맞춤법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하자 (0) | 2024.01.07 |
욱여넣다 vs 우겨넣다 맞춤법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하자 (1) | 2024.01.07 |
금새 금세 맞춤법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하기 (2) | 2024.01.07 |
로서 로써 차이 구분, 올바른 사용 예시 (0) | 2020.11.19 |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